카테고리 없음

에너지 바우처 36만 7천원 신청하기

레몬먹은당나귀 2025. 11. 22. 14:08
반응형

기초수급 다자녀가구 에너지바우처 지원 시작!

에너지 바우처 신청
에너지 바우처 신청

겨울철 난방비가 크게 부담되는 시기, 정부가 기초수급 다자녀가구를 위한 에너지바우처 지원 확대를 발표했습니다.

2025년 11월 2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평균 36만 7,000원의 에너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어 실제 난방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큽니다. 이 글에서는 지원 대상, 신청 방법, 금액, 사용 방식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에너지바우처란 무엇인가?

에너지바우처는 난방·전기·가스 등 필수 에너지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게 정부가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겨울 시즌부터는 19세 미만 자녀 2명 이상이 포함된 기초수급 다자녀 가구도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되며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 신청 기간

  • 2025년 11월 21일 ~ 12월 31일

✔ 바우처 사용 기간

  • 지급 즉시 ~ 2026년 5월 25일까지

2. 지원 대상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다음의 조건을 충족하면 에너지바우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기초수급 가구
  • 19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포함된 다자녀 가구
  • 세대원 전체가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지여야 함
  • 추가 구성원 포함 시 우선 지원 가능성 ↑
    • 만 65세 이상 노인
    • 만 7세 이하 영유아
    • 장애인, 임산부
    • 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
    • 한부모·소년소녀가정

 

3. 지원 금액 — 평균 36만 7,000원

세대원 수에 따라 바우처 지원금은 달라지며, 이번 겨울 시즌 평균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평균: 36만 7,000원
  • 4인 기준 세대: 약 70만 1,300원
  • 세대원 수 증가 → 지원금도 증가

지원금은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 등 대부분의 난방·에너지 사용에 적용 가능합니다.

4. 신청 방법 — 방문 및 온라인 신청 가능

①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주민등록상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분증 지참

② 복지로 온라인 신청

복지로 누리집에서 로그인 후 신청 가능하며, 모바일에서도 신청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습니다.

③ 신청 처리 절차

  1. 신청 접수
  2. 시·군·구 자체 검토
  3. 지원 승인 후 문자 안내
  4. 카드 또는 요금자동차감 방식으로 사용 가능

5. 사용 방식 — 카드 결제 or 요금자동차감

✔ 실물카드 방식(국민행복카드)

  • 결제 시 지원금 자동 차감
  • 전기·가스·연탄·등유 등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

✔ 요금자동차감 방식

  • 매달 고지되는 전기·가스 요금에서 자동 차감
  • 카드 사용이 어려운 가구에 특히 유용

 

6. 정책 확대 배경 — 왜 지원이 늘어났을까?

겨울철 난방비 부담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취약계층의 에너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 특히 난방비 부담이 큰 다자녀 기초수급 가구 중심으로 지원 범위를 크게 확대했습니다.

내년 이후에도 지원 확대가 계속될 계획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7.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 신청 마감: 2025년 12월 31일
  • 사용 기한: 2026년 5월 25일까지
  • 세대원 변동 → 지원금 변동 가능성 있음
  • 대리 신청 가능(가족 등)
  • 주소지 기준으로만 신청 가능

 

8. 마무리 — 다자녀 가구라면 꼭 신청해야 하는 겨울 혜택

에너지바우처는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실질적인 지원 제도입니다. 특히 평균 36만 원 이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기초수급 다자녀 가구라면 반드시 신청해야 할 필수 제도입니다. 신청 기간이 짧으니 12월 31일 이전에 서둘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