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2025 소비쿠폰 완벽정리] 스타벅스는 안 되고 다이소는 된다?! 사용 가능 매장 총정리
2025년 7월 21일부터 정부가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시작됩니다. 최대 1인당 55만 원까지 지급되는 이 쿠폰은 지역 내 소상공인 매장 이용을 장려하는 정책인데요. 많은 분들이 “스타벅스는 안 되고, 다이소는 된다고?”라며 헷갈려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쿠폰 사용처를 Q&A 형식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 지역화폐 형태: 지자체가 지정한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
- 신용·체크카드 형태: 연 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에서 사용 가능
- 불가: 대형마트, 백화점, SSM, 면세점 등 대형 유통 매장
- 예외: 마트·편의점 등이 없는 농촌 지역의 농협 하나로마트는 사용 가능
☕ 스타벅스는 왜 안 되나요?
스타벅스, 올리브영 등은 100% 본사 직영 체제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반면, 다이소, 교촌치킨, 파리바게뜨처럼 가맹점이 포함된 브랜드는 가맹점에 한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 가능 매장에는 별도 스티커가 부착될 예정이므로 확인 후 이용하세요!
🏪 편의점에서는?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의 경우 직영점은 불가, 가맹점은 사용 가능합니다.
편의점 본사가 직접 운영하는 매장은 제외되며, 개별 점주가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배달앱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까?
배달앱 자체 결제는 사용 불가입니다.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 앱 내에서 결제 시 소비쿠폰 적용이 되지 않지만, ‘만나서 결제’처럼 배달원이 들고 오는 카드 단말기로 결제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 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소비쿠폰은 주소지 기준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예: 송파구 주민 → 서울 전역 OK / 하남, 성남은 ❌ 단, 경기도 주민은 경기도 전역에서 사용 가능
🎖 군인도 사용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나라사랑카드(KB·BC)로 소비쿠폰을 지급받은 의무복무 병사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군부대 내 PX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형마트 내 미용실은?
대형마트 안에 입점한 임대 매장 형태의 미용실, 안경점, 약국, 음식점 등은 사용 가능합니다.
예: 이마트 내 임대 매장 → 사용 가능
📌 요약정리
사용 가능 | 사용 불가 |
---|---|
지역 슈퍼, 동네 식당, 미용실 편의점 가맹점, 다이소(가맹점) 군 PX, 대형마트 내 임대 매장 |
스타벅스, 올리브영 백화점, 대형마트 본사 배달앱 자체 결제 주소지 외 타지역 |
📅 주요 일정
- 1차 지급: 2025년 7월 21일 (15만~45만 원)
- 2차 지급: 2025년 9월 22일 (소득 하위 90%, 10만 원)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 소비쿠폰을 현명하게 사용하여 지역 경제도 살리고, 나의 지출도 줄여보세요!
정확한 사용처를 확인하고 혼동 없이 사용하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으로 소통해 주세요 😊